본문 바로가기

생생이슈/보건의료이슈

[Vol.12 4월호] 이것이 알고싶다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란 신체적인 손상을 입거나 생명의 위협을 느낄 정도로 충격적인 사건을 겪거나 목격하는 등 심리적 외상을 받은 후에 발생하는 불안장애를 의미한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충격적인 사건 자체가 일차적인 원인이지만 충격적인 사건을 경험한 모두가 이 질환을 경험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인 중 60%의 남자와 50%의 여자가 상당히 의미 있는 사건을 경험하지만 실제 이 질환의 유병률을 6.7%정도이다.


이 밖에 생물학적인 요인으로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그리고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의 기능 등이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위험 인자로는 어렸을 때 경험한 심리적 상처, 경계선 성격과 같은 성격 장애, 부적절한 가족, 주변의 지지 체계 부족, 정신과 질환에 취약한 유전적 특성, 스트레스가 되는 생활의 변화, 과도한 음주 등이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주요한 증상은 크게 3가지이다. 질환은 사건 발생 1달 후 심지어는 1년 이상 경과된 후에 시작될 수도 있다.


1. 꿈이나 반복되는 생각을 통한 외상의 재경험

2. 외상과 연관되는 상황을 피하려고 하거나 무감각해지는 것

3. 자율신경계가 과각성되어 쉽게 놀라고 집중력 저하, 수면 장애, 짜증 증가 등 


이 외에도 환자들은 해리 현상이나 공황발작을 경험할 수도 있고, 환청 등의 지각 이상을 경험하기도 한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진단은 환자 면담과 심리 검사 등을 통하여 내려지며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외상을 경험 그리고 이후 극심한 불안, 공포, 무력감, 고통을 느낌

2.  외상에 대한 재경험(악몽, 환시, 생각, 해리를 통한 경험)

3.  외상에 대한 회피 또는 무감각 관련 증상이 3가지 이상

 - 외상 관련된 것에 대해 말을 하지 않고 장소를 피함

 - 외상 관련된 일이 기억나지 않음

 - 감각의 저하, 의욕 저하 등

4.  수면장애, 짜증 분노 증가, 집중력 저하, 자주 놀램 등의 각성 상태에 대한 2가지 이상 증상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치료는 우선 외상을 경험한 환자를 지지해 주고 격려해서 환자가 외상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게 해 주어야 하고 대처 방법에 대한 교육을 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후 약물 치료와 정신 치료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약물 치료로는 선택적 세로토닌제 흡수억제제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 약물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특징적인 증상뿐만 아니라 다른 불안이나 우울 증상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이 외에도 삼환계 항우울제가 사용되기도 하며, 이런 약제의 경우 최소 8주 이상 사용하고 효과가 있는 경우 1년 정도 유지하는 것이 좋다. 필요하면 수면제나 항불안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담을 통해 제반응과 카타르시스를 이용하여 외상을 재구성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위기개입 기법도 효과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