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수첩/보건의료근거연구

[Vol.59 19년 제4호] 알기 쉬운 보건의료근거연구 -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에서 스텐트시술과 관상동맥 우회수술의 비교효과연구

알 수 없는 사용자 2019. 5. 22. 13:29

 

 

알기 쉬운 보건의료근거연구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에서 스텐트시술과 관상동맥 우회수술의 비교효과연구

 

 

연구배경

2016년 사망원인통계에 의하면 한국인 사망원인 중 심장질환은 인구 10만 명당 58.2명으로 암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으며, 이 중 특히 허혈성심장질환(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10만 명당 28.7명으로 나타났다. 향후 급격한 인구고령화 및 서구식 생활양식으로 허혈성 심장질환의 발생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단일혈관 및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의 치료방법으로는 1) 혈전용해제, 아스피린, 베타차단제 등의 약물투여, 2) 혈관을 확장하는 스텐트시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3) 심장을 열어서 막힌 혈관을 다른 혈관으로 이식하는 관상동맥 우회수술(coronary-artery bypass grafting, CABG)이 있는데, PCI와 CABG 효과를 비교한 외국의 연구들은 존재하지만 국내 임상현장에서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의 상대적 치료효과를 확인한 연구는 극히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PCI와 CABG 간 사망위험 및 심혈관 사건(심혈관 이상으로 인한 사망, 심근경색, 뇌졸중) 발생 위험도를 비교 분석하고, 스텐트 종류 및 환자의 주요 특성별 사망률과 합병증 위험도를 파악하여 국내에서 다혈관질환의 올바른 치료선택에 대한 진료지침에 필요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의 치료방법인 PCI와 CABG의 주요 심혈관 사건 발생의 위험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청구자료, 자격자료, 국가건강검진자료 및 통계청 사망원인 자료를 연계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실시하였다. 두 치료법 간 비교는 연계된 자료에 포함된 사망, 심장사(심장병 원인으로 사망),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으로 인한 입원 및 혈관재건술(revascularization) 발생률을 이용해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연구기간(2004.01.01.~2013.12.31.) 동안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해 PCI 혹은 CABG를 받은 경우를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1) 사망 위험

10년 동안의 누적 사망(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발생률을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치료 후(연구시작 이후 치료 의미) 4년까지는 CABG군이 PCI군에 비해 사망위험도가 높았으나 4년 이후부터는 두 군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PCI군의 사망 위험(CABG군과 비교 결과)>

연구시작 이후 경과 기간

사망 위험

30일

63% ↓

1년

26% ↓

2년

11% ↓

3년

6% ↓

4~10년

=

 

2) 주요 심혈관 사건 발생 위험

치료 후 심장사 발생률, 심근경색증 발생률, 뇌졸중 발생률 자료를 모두 합쳐 발생 위험을 분석한 결과, PCI군과 CABG군 간 발생 위험의 차이가 없었다. 심혈관 사건 각각에 대한 발생 위험도 분석하였는데, 심장사 발생 위험은 PCI군이 CABG군보다 낮았고, 심근경색증 발생 위험은 PCI군이 더 높았으며(1.74배↑), 뇌졸중은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관재건술 발생 위험은 PCI군이 CABG군보다 높았다(2.04배↑).

 

<표 2. PCI군의 주요 심혈관 사건 발생 위험(CABG군과 비교 결과)>

주요 심혈관계질환

발생 위험

심장사+심근경색증+뇌졸중

=

심장사

16% ↓

 

3) 영향 요인별 사망 위험

사망 발생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스텐트 종류, 질환 과거력(당뇨병, 협심증) 및 인구사회학적특성(성, 연령, 소득, 연구시작 연도)별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의 치료방법에 따른 사망 위험도를 비교·분석하였다. 2세대 약물방출 스텐트 치료군, 낮은 연령군(60세 미만, 60~69세) 및 과체중군(체질량지수(BMI)≥25kg/m2)일 때 PCI군의 사망위험이 CABG군보다 낮았다. 그 외 성, 소득, 당뇨병 과거력, 협심증 여부, 연구시작 연도별로는 통계적으로 PCI군과 CABG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 PCI군의 영향요인별 사망 발생 위험(CABG군과 비교 결과)>

영향 요인

사망 위험

2세대 약물방출 스텐트

14% ↓

체질량지수(BMI)≥25kg/m2

18% ↓

연령

60세 미만

17% ↓

60~69세

12% ↓

 

결론 및 제언

본 연구결과 다혈관 관상동맥질환 표준치료의 하나인 스텐트시술은 관상동맥 우회수술과 비교하여 사망 및 뇌졸중 위험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심근경색 발생 및 혈관재건술 위험은 관상동맥 우회수술보다 높았다. 본 연구는 대규모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주요 치료법이 사망 및 심혈관 사건 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기에 중요한 의학적 활용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관상동맥 스텐트시술 및 관상동맥 우회수술 간의 상대적 장기성적을 평가하기 위해서 환자의 중증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부학적 변수를 포함한 청구자료 분류코드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 연구보고서 원문은 ‘NECA 웹사이트(www.neca.re.kr) > 연구정보 > 연구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구책임자

박덕우(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고민정(한국보건의료연구원)

참여연구원

김준범(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

윤성철(울산의과대학 의학통계학교실)

조애정, 조송희, 김효정(한국보건의료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