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62 19년 제7호] 알기 쉬운 보건의료근거연구 - 추간판 내 스테로이드 주입술의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알기 쉬운 보건의료근거연구
추간판 내 스테로이드 주입술의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 연구배경
요통은 직립보행으로 인해 생겨난 질환으로 전 인구의 약 80% 이상이 일생에 한번 이상 경험하게 되는 가장 흔한 증상이다. 요통 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질환이 척추성 요통인데, 우리가 흔히 ‘디스크’ 라고 부르는 추간판 탈출증과 그 외 추간판 내장증, 퇴행성 추간판 질환 등이 이에 속한다.
이러한 척추성 요통에 대한 비수술적 요법 중 하나인 추간판 내 스테로이드 주입술(Steroid Intra Discal Therapy, SIDT)은 추간판 탈출증, 요부동통, 퇴행성 척추증 환자에게 주로 사용하는 시술로서 스테로이드계 약제를 척추의 디스크 내에 주입하여 해당 부위의 통증을 완화하는 주사 치료법이다. 본 연구는 SIDT의 안전성 및 임상적 유효성을 평가하여 합리적인 급여기준 설정에 필요한 의학적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 연구방법
SIDT에 대한 안전성 및 효과성을 최신의 근거를 평가하기 위하여 2014년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의료기술 재평가 수행을 위한 시범평가 연구 -[2세부] 추간판 내 스테로이드 치료의 안전성과 유효성 분석」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였다.
문헌검색은 국내 7개 데이터베이스(KISS, KMbase, 국회도서관, KoreaMed, KISTI, 국립중앙도서관, RISS) 및 국외 3개 데이터베이스(Ovid-Medline, Ovid-Embase, Cochrane CENTRAL)를 이용하였으며, 문헌선정은 2명 이상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시행하였고, 모두 3차례의 문헌선택 과정을 거쳤다. 자료분석은 양적 분석(quantitative analysis)이 가능할 경우 양적 분석(메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불가능할 경우 질적 검토(qualitative review) 방법을 적용하였다.
❚ 연구결과
1) 안전성
SIDT의 안전성 결과를 보고한 5편의 비교 연구* 문헌 중 1편의 문헌에서 석회침착의 발생과 다른 1편의 문헌에서 심각한 부작용** 발생이 보고되었다. 요추 부위 환자군 연구*** 10편에서는 다양한 합병증 발생 비율을 보고하였는데, 석회침착 및 골화 0~43.7%, 디스크 붕괴 3%, 감염 0~0.4%, 열 또는 두통 31.2%, 소변장애 3.3%, 발 배굴근 장애 3.3%, 척수강 내 수막종 0.4%였다. 경추 부위 환자군 연구 2편에서도 추간판염을 보고한 문헌이 1편, 후두수종을 보고한 문헌이 1편 있었다.
<표 1. SIDT의 안전성 분석 결과>
연구 문헌 종류 |
안전성 분석 결과 |
비교 연구 |
- 석회침착(1편): SIDT군 38.5%, 케모파파인 척추수핵용해술군 39.7%에서 발생 - 심각한 부작용(1편): SIDT군 43.3%, 무치료군 39.7%에서 발생 |
환자군 연구 |
골화, 디스크 붕괴, 감염, 열 또는 두통, 소변장애, 발 배굴근 장애, 척수강 내 수막종, 추간판염, 후두수종과 같은 합병증 발생 |
** 심각한 부작용: 사망을 야기하거나, 생명을 위협하거나, 새로운 입원 또는 입원의 연장을 요하거나, 지속적이고 임상적으로 중대한 장애를 초래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의료적인 사건의 발생
*** 환자군 연구: 비(非)비교 연구로써, 여러 명의 환자에 대하여 임상 경과 등을 서술한 연구
2) 유효성
위약군 또는 비치료군(no treatment)군과 SIDT군을 비교한 연구에서는 공통적으로 시술 후 3개월 이내 단기 통증 개선과 기능 개선 효과가 있음을 일부 확인하였으나, 평가에 포함된 문헌의 수가 매우 적어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웠다. 요추 부위 환자군 연구 15편 중 대부분의 문헌에서도 시술 후 3개월 이내 단기 통증 개선과 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각 시점별/결과지표별 평가에 포함된 절대적인 문헌의 수가 매우 적고, 효과성을 평가하기에 양질의 근거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SIDT의 유효성 분석 결과>
연구 문헌 종류 |
유효성 분석 결과 |
비교 연구 |
시술 후 3개월 이내 단기 통증 개선과 기능 개선 효과 확인. 그러나 평가에 포함된 문헌의 숫자가 매우 적어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움 |
환자군 연구 |
시술 후 3개월 이내 단기 통증 개선과 기능 개선 효과 확인. 그러나 평가에 포함된 문헌의 숫자가 매우 적어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움 |
❚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로는 SIDT 시술의 안전성 및 유효성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내리는 것이 어려웠다. 그러나 본 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검색된 국내외 모든 임상 진료지침에서 SIDT 시술을 권고하는 경우는 확인되지 않았고, 국외의 보험 급여 현황 조사에서도 역시 급여를 허용하고 있는 경우는 없었다. 본 연구를 위해 관련 분야의 임상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역시, 동 시술은 이미 과거에 추간판염 등 같은 부작용이 발생한 전례가 있고, 그 밖의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의료기술이라는 한계가 있어 국내외적으로 시술의 빈도가 극히 낮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 연구보고서 원문은 ‘NECA 웹사이트(www.neca.re.kr) > 연구정보 > 연구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구책임자
윤지은(한국보건의료연구원)
참여연구원
박동아, 이나래, 이현아(한국보건의료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