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녕 NECA/언론보도

[약사공론] '공익적 임상연구' 핵심은 독립된 자본

 

 

    '공익적 임상연구' 핵심은 독립된 자본

      "국가 차원의 임상연구비 지원 부족"

 

 

  • 언론사 | 약사공론

  • 기자명 | 정찬웅

  • 보도일시 | 2015. 7. 2.

 


 

[기사원문보기]

 

 의약품 허가의 필수코스격인 임상은 의료계가 주도하지만 자본의 원천은 대개 제약업계다. 그러다보니 업계의 이익을 대변하는 행태로 임상이 진행돼 환자 진료나 치료라는 본질적 측면이 간과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같은 의견은 임상 진행에 있어 환자 치료라는 핵심가치가 살기 위해선 독립된 자본이 필요하다는 쪽으로 결론이 모아진다. 국가차원의 임상 비용 지원이 필요한 이유다.

박덕우 교수(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는 최근 NECA(보건의료연구원) 소식지 '공감' 기고에서 이같은 견해를 보탰다.

박 교수는 "임상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가 임상 자금지원인데, 적절한 재원없이 임상에서 실질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만한 양질의 임상연구를 수행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최근 임상연구의 많은 부분이 대규모의 제약회사 및 의료기기 회사의 임상자금지원을 통해 이뤄지고 있으며 대부분 이러한 연구들은 자금을 댄 회사의 이익에 부합되는 연구를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환자 진단 및 치료에 반드시 필요한 대목이 여전히 많이 존재하고 이는 대부분 양질의 임상연구를 통해서만 진정한 치료 효과를 알 수 있는 경우가 많아 결국 공익적 임상연구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는 지적이다.

박 교수는 "미국의 경우 전체 바이오메디컬 리서치 분야의 재원 중 국가나 공공기관에서 지원하는 비중이 대략 40%정도로 국내에 비하여 매우 높다"고 밝혔다.

하지만 우리나라 국가연구비 지원 현황을 보면 대부분의 연구지원이 기초연구, 중계연구 및 플랫폼 지원 사업 중심으로 되어 있으며 임상근거 마련을 위한 공익적 임상연구에 대한 연구비 지원은 매우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실제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의 경우에도 최근 10여년동안 국내 및 전세계적으로 임상근거 마련을 위한 다양한 공익적 임상연구를 수행하였지만 국가가 연구비를 지원한 경우는 10%미만으로 매우 제한적이었다고 토로했다.

박 교수는 "국내에서도 공익적 임상연구 수행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의 관심 및 확대된 국가 연구비 지원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며, 향후 활성화된 공익적 연구를 바탕으로 임상연구의 국가경쟁력이 증대되고 실질적인 국민건강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