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강민주 연구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보건의료근거연구본부 경제성평가연구팀)
❚ 연구 배경
조혈모세포이식은 재생불량성 빈혈 등의 골수기능부전이나 백혈병과 같은 혈액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혈모세포를 주입하여 골수기능을 회복시키는 치료방법이다. 약 50년 전에 시작된 조혈모세포이식은 그 동안 많은 발전을 거듭하여 혈액질환뿐만 아니라 악성종양이나 자가면역질환과 선천성대사이상증까지 그 적응증이 확대되고 있다. 조혈모세포이식은 혈연이나 비혈연(동종이식) 공여자의 세포 혹은 환자본인으로부터 미리 채집된 세포(자가이식)로 시행되고 있으며, 어떤 방법을 선택할 것인지는 환자의 나이, 대상질환, 공여자의 존재여부, 그리고 이식센터의 선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비교적 새로운 치료법이기 때문에 아직 표준적인 방법이나 체계가 잡혀있지 않아 시술현황을 살펴보는 것이 현재 국내에서의 조혈모세포이식의 임상적 의미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혈모세포이식의 방법별 임상성적을 살펴보기 전에 국내 현황을 검토하였다. 본 원고에서는 본 연구의 일부분인 조혈모세포이식(동종이식, 자가이식)의 국내 사용현황을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 연구 방법
조혈모세포이식 국내 시술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공단)의 건강보험 청구자료에서 진료일 기준으로 2002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전국 의료기관에서 조혈모세포이식 관련 시술을 받은 환자의 전체 의료이용 청구자료(NHIS-2015-4-005)와 자격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조혈모세포이식 관련 행위코드가 청구된 16,069명(명세서 3,308,837건) 중에서 연구대상자 기준 1을 충족하는 10,993명을 대상(그림 1)으로 2008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조혈모세포이식 국내시술현황을 살펴보았다. 국내시술현황 파악이 목적이므로, 2008년 이전과 이후에 모두 시술을 받은 대상자의 경우, 2008년 이후 시술만 분석에 포함되었다.
그림 1. 국내 조혈모세포이식 현황 분석 대상자 선정 흐름도
❚ 연구 결과
1) 연도별 시술현황
연도별 조혈모세포이식 현황을 살펴본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체적인 조혈모세포이식의 사용건수가 증가하고 있었다. 이식원(골수, 말초혈액, 제대혈)별로 는 동종이식에서 말초혈액인 경우가 2008년 70.2%인 반면, 2014년 86.8%로 점차 말초혈액 이식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골수이식의 경우, 2008년 26.0%에서 2014년 8.7%로 국내 사용현황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이식에서는 연도별 경향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고, 90%이상에서 말초혈액으로 이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
표 1. 연도별 조혈모세포이식 현황
(건, %) | |||||||||||||||||
연도 | 전체 N=11,902 | 동종조혈모세포이식 | 자가조혈모세포이식 | ||||||||||||||
전체 | 골수 | 말초혈액 | 제대혈 | 전체 | 골수 | 말초혈액 | 제대혈 | ||||||||||
N=6,481 | N=1,021 | N=5,228 | N=232 | N=5,421 | N=98 | N=5,315 | N=8 | ||||||||||
n | (%) | n | (%) | n | (%) | n | (%) | n | (%) | n | (%) | n | (%) | n | (%) | ||
2008 | 1,358 | 707 | (52.1) | 184 | (26.0) | 496 | (70.2) | 27 | (3.8) | 651 | (47.9) | 38 | (5.8) | 610 | (93.7) | 3 | (0.5) |
2009 | 1,502 | 809 | (53.9) | 179 | (22.1) | 601 | (74.3) | 29 | (3.6) | 693 | (46.1) | 10 | (1.4) | 682 | (98.4) | 1 | (0.1) |
2010 | 1,660 | 896 | (54.0) | 182 | (20.3) | 675 | (75.3) | 39 | (4.4) | 764 | (46.0) | 10 | (1.3) | 752 | (98.4) | 2 | (0.3) |
2011 | 1,768 | 1,022 | (57.8) | 170 | (16.6) | 831 | (81.3) | 21 | (2.1) | 746 | (42.2) | 11 | (1.5) | 735 | (98.5) | 0 | (0.0) |
2012 | 1,789 | 991 | (55.4) | 110 | (11.1) | 849 | (85.7) | 32 | (3.2) | 798 | (44.6) | 6 | (0.8) | 792 | (99.2) | 0 | (0.0) |
2013 | 1,817 | 985 | (54.2) | 103 | (10.5) | 846 | (85.9) | 36 | (3.7) | 832 | (45.8) | 16 | (1.9) | 814 | (97.8) | 2 | (0.2) |
2014 | 2,008 | 1,071 | (53.3) | 93 | (8.7) | 930 | (86.8) | 48 | (4.5) | 937 | (46.7) | 7 | (0.7) | 930 | (99.3) | 0 | (0.0) |
2) 질환별 시술현황
조혈모세포이식이 이루어진 대상질환을 살펴본 결과, 전체 시술건수 중 백혈병이 5,384명(45.2%)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다발 골수종, 림프종/림프증식성질환이 각각 18.6%, 18.3%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백혈병, 비약성 장애에서 이루어진 조혈모세포이식 중 동종이식이 각각 92.7%, 99.6%를 차지하였고, 고형종양, 다발 골수종, 림프종/림프증식성질환에서는 전체 조혈모세포이식의 98.9%, 95.6%, 89%가 자가이식인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
그림 2. 질환별 조혈모세포 이식 현황
3) 환자 특성별(성별, 연령) 조혈모세포이식 현황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자의 성별분포를 확인한 결과, 동종이식과 자가이식 각각에서 남성이 56.5%, 58.9%로 여성보다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종이식을 받은 환자의 평균연령은 35.2세이며, 연령군별로 50세 이상이 26.4%, 18세 미만과 40대가 각각 20.7%, 20.3%로 연령대별로 고르게 시술되고 있는 반면, 자가이식을 받은 환자의 평균연령이 42.4세로 동종이식을 받은 환자군에 비해 다소 높고, 연령이 50세 이상인 환자가 전체 환자의 50.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
표 2. 성별, 연령에 따른 조혈모세포이식 현황
(건) | |||||||||||||||||
질환 | 전체 N=11,902 | 동종조혈모세포이식 | 자가조혈모세포이식 | ||||||||||||||
전체 | 골수 | 말초혈액 | 제대혈 | 전체 | 골수 | 말초혈액 | 제대혈 | ||||||||||
N=6,481 | N=1,021 | N=5,228 | N=232 | N=5,421 | N=98 | N=5,315 | N=8 | ||||||||||
n | (%) | n | (%) | n | (%) | n | (%) | n | (%) | n | (%) | n | (%) | n | (%) | ||
성별 | |||||||||||||||||
남자 | 6,856 | 3,661 | (56.5) | 535 | (52.4) | 3,001 | (57.4) | 125 | (53.9) | 3,195 | (58.9) | 51 | (52.0) | 3,138 | (59.0) | 6 | (75.0) |
여자 | 5,046 | 2,820 | (43.5) | 486 | (47.6) | 2,227 | (42.6) | 107 | (46.1) | 2,226 | (41.1) | 47 | (48.0) | 2,177 | (41.0) | 2 | (25.0) |
연령 | |||||||||||||||||
mean±sd | 38.5±18.9 | 35.2±17.8 | 32±16.5 | 36.6±17.5 | 16.5±16.6 | 42.4±19.5 | 39.8±19.9 | 42.5±19.4 | 15.1±19.2 | ||||||||
18세 미만 | 2,301 | 1,340 | (20.7) | 250 | (24.5) | 933 | (17.8) | 157 | (67.7) | 961 | (17.7) | 17 | (17.3) | 938 | (17.6) | 6 | (75.0) |
18~29 | 1,485 | 1,084 | (16.7) | 179 | (17.5) | 879 | (16.8) | 26 | (11.2) | 401 | (7.4) | 12 | (12.2) | 389 | (7.3) | 0 | (0.0) |
30~39 | 1,443 | 1,027 | (15.8) | 195 | (19.1) | 811 | (15.5) | 21 | (9.1) | 416 | (7.7) | 9 | (9.2) | 406 | (7.6) | 1 | (12.5) |
40~49 | 2,224 | 1,317 | (20.3) | 227 | (22.2) | 1,080 | (20.7) | 10 | (4.3) | 907 | (16.7) | 20 | (20.4) | 887 | (16.7) | 0 | (0.0) |
50세 이상 | 4,449 | 1,713 | (26.4) | 170 | (16.7) | 1,525 | (29.2) | 18 | (7.8) | 2,736 | (50.5) | 40 | (40.8) | 2,695 | (50.7) | 1 | (12.5) |
4) 조혈모세포이식 관련 청구비용
조혈모세포이식으로 건강보험에 청구되는 청구금액을 살펴본 결과, 동종이식을 받은 경우 환자 1인당 평균비용이 약 3,844만으로, 자가이식 2,402만원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3). 질환별로 살펴보면, 동종이식에서 림프종/림프증식성질환에서 약 4,420만원으로 청구금액이 가장 높았고, 자가이식에서는 고형종양일 때 평균청구금액이 약 2,915만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3. 질환별 동종조혈모세포이식과 자가조혈모세포이식 관련 비용
(원)
전체 | 고형종양 | 림프종/ 림프증식성질환 | 백혈병 | 비약성 장애 | 다발 골수종 | 기타 | ||
전체 | 환자수(명) | 11,901 | 904 | 2,171 | 5,384 | 980 | 2,218 | 244 |
평균 | 31,872,578 | 29,311,565 | 28,610,483 | 37,110,774 | 39,663,123 | 19,291,250 | 37,878,189 | |
표준편차 | 20,798,884 | 21,291,309 | 19,139,731 | 20,851,417 | 20,706,973 | 14,765,068 | 20,680,612 | |
중앙값 | 26,925,583 | 21,604,322 | 23,187,918 | 31,358,099 | 34,752,788 | 15,020,736 | 33,171,449 | |
동종조혈모세포이식 | 환자수(명) | 6,481 | 10 | 238 | 4,992 | 976 | 97 | 168 |
평균 | 38,440,446 | 43,385,765 | 44,198,037 | 37,754,177 | 39,722,636 | 40,361,184 | 41,823,577 | |
표준편차 | 21,698,821 | 23,804,726 | 30,391,409 | 21,064,770 | 20,717,043 | 32,801,600 | 21,371,702 | |
중앙값 | 32,347,469 | 43,020,636 | 34,225,710 | 31,807,867 | 34,810,471 | 26,924,814 | 36,353,490 | |
자가조혈모세포이식 | 환자수(명) | 5,420 | 894 | 1,933 | 392 | 4 | 2,121 | 76 |
평균 | 24,019,008 | 29,154,136 | 26,691,271 | 28,917,239 | 25,142,139 | 18,327,656 | 29,156,807 | |
표준편차 | 16,542,651 | 21,223,622 | 16,264,589 | 15,784,431 | 12,402,975 | 12,570,547 | 16,022,927 | |
중앙값 | 19,230,107 | 21,559,519 | 22,126,598 | 25,119,627 | 26,416,136 | 14,694,188 | 26,547,218 |
❚ 결론
초기에 조혈모세포이식의 표준은 골수이식이었으나 공여자를 구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공여자가 있더라도 전신마취, 채취부위의 통증문제 등으로 새로운 시술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었다. 이러한 현황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 살펴본 국내 시술현황에서도 점차 자가말초혈액이식, 동종말초혈액이식, 제대혈이식 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덧붙여 본 연구에서는 조혈모세포이식의 국내 사용현황을 파악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조혈모세포이식의 이식방법별 성적을 살펴보고, 조혈모세포이식을 요하는 환자와 관련 의사들에게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임상근거를 제공할 예정이다.
본 연구과제는 2015년 2월~2016년 9월까지 진행되는 과제로 최종 연구보고서는 2016년 내에 공개될 예정이다.
연구책임자
고영일 교수(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혈액종양내과 조교수)
신상진 연구위원(한국보건의료연구원 보건의료근거연구본부 경제성평가연구팀)
연구진
문준호(경북대학교병원), 이혜원(국립암센터), 장준호(삼성서울병원),
정준원(신촌세브란스병원), 육정환(서울대학교병원), 이자연, 신민경,
강민주(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심결요양급여비용이 0원으로 수정된 명세서 5,193건 제외, 조혈모세포이식 관련 시술 중 조혈모세포를 주입받지 않은 대상자 3,289,952건 제외, 자격자료 누락은 38건 제외, 2008년 이전에 이식건 1,752건 제외 [본문으로]
'연구수첩 > 보건의료근거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 쉬운 NECA 연구] 문신 2탄! 문신, 하기 전에 어떤 점을 알아야 할까? (0) | 2016.08.30 |
---|---|
[Vol.39 8월호] 이달의 NECA연구 :: 성형수술(시술) 이용자 안전을 위한 가이드라인 및 기준 연구 (0) | 2016.08.25 |
[Vol.37 6월호] 이달의 NECA연구 :: 약물 난치성 뇌전증에 대한 약물치료 및 수술치료의 경제적 성과분석 (0) | 2016.06.23 |
[Vol.36 5월호] 이달의 NECA연구 :: ESBL생성 장내세균에 의한 균혈증 및 요로감염에서 카바페넴과 다른 항생제 대안치료법간 임상효과 비교연구 (0) | 2016.05.27 |
[Vol.35 4월호] 이달의 NECA연구 :: 서화문신 안전 관리를 위한 기반연구 (0) | 2016.04.21 |